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9월, 2018의 게시물 표시
Mac Os dmg file 모하비(Mojave) 10.14 하이 시에라(High Sierra) 10.13.6 시에라(Sierra) 10.12.6 엘 캐피탄(El Capitan) 요세미티(Yosemitte) 매버릭스(Mavricks)

iMac 2011 Mid 에 windows10 설치하기 삽질의 끝판왕

해도해도 너무했다.. 살집... 간단한 순서로 나열해놓기로 하자 첫번째 내 imac 은 내부의 슈퍼드라이브가 망가졌다.. 그러하므로 우선 맥을 속여야한다 씨디롬이 있고 거기에 windows7 설치 씨디가 있다고.. 방법 1. 데몬툴을 설치해 windows7.iso 파일을 마운트 시킨다. 방법 2. bootcamp 의 plist 를 수정해 내 mac이 마치 windows10 이나 usb설치가 가능한 모델인것처럼 만든다.. 방법 3. 외장형 cdrom을 이용한다. 위 방법 3가지는 모두 완벽하게 동작한다. 각각의 방법에 대한 설명은 검색하면 충분히 많이 나온다. 이제 부트캠프에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자동으로 재부팅이 되면.. 윈도우 설치프로그램으로 로딩되어야 하는데 이제 안된다. 방법 1. 외장형 cdrom인 경우 부팅과동시에 키보드의 c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외장형 cdrom으로 부팅되며 설치 가 가능해진다. 방법 2. usb를 통해 설치할 경우 키보드 option(alt) 키를 누르고 있으면 이런저런 디스크들이 보이는데 그중에 windows(EFI) 로 부팅하면 설치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제  windows 설치프로그램이 로딩되었다면 절대 설치를 하지말자.. 이상태로 설치하면 오디오 드라이버가 안잡히거나 그래픽이 안잡히거나 마우스가 안되거나 등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현재로는 드라이버등을 통해 해결할 방법이 없다. 아무튼.. 설치프로그램 로딩이 완료 되었다면 shift - f10 을 눌러 커맨드창(터미널) 을 열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diskpart list disk - 자신의 디시크가 어떤것인지 확인 select disk 0 - 자신의 디스크 번호를 입력(나는 디스크가 하나이기 때문에 0) list partition - 부트캠프 파티선 번호 확인 select partition 4 - 확인한 파티션 번호 입력 (나는 몇번의 삽질속에도 무조건 4번이더라) for

라즈베리파이 네트워크 폴더 엑세스 sshfs 이용

sshfs 를 이용해 다른 리눅스에 엑세스 가능하다 결국 네트워크폴더 처럼 이용할 수 있다. 이말은 nas의 영화를 바로 읽어와 시청 가능하다는 뜻.. 설치 sudo apt-get install sshfs 접속(마운트) sshfs userid@192.168.0.2:/home/userid /home/myfolder/ -o allow_other,reconnect,ServerAliveInterval=15,ServerAliveCountMax=3 userid@192.168.0.2 userid 는 ssh 접속시 사용하는 id 이고 뒤에는 접속 주소 이다. /home/userid 는 접속할 홈폴더 /home/myfolder/ 는 마운트할 폴더 -o 옵션 reconnect,ServerAliveInterval=15,ServerAliveCountMax=3 15초마다 연결 확인 및 연결 안될땐 3번 재연결 참고로 이러한 방법으로 접속하면 패스워드를 물어오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서 키를 생성해 서버에 넘겨 주어 자동으로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cd~ cd .ssh ssh-keygen -t rsa //키생성 ssh-copy-id -i ~/.ssh/id_rsa.pub userid@192.168.0.2 이렇게 키를 넘겨주면 클라이언트(라즈베리파이)는 앞으로 서버(nas)에 자동으로 접속이 가능해진다. iptime nas도 ssh접속이 풀려 있으니 위의 방법대로 하면 언제나 신선한(?) 영화를 자유롭게 시청 할 수 있다 ㅎㅎ torrent를 이용하건 다른 방법을 이용하건 그건 개인의 자유이고 개인의 책임이다. 어찌 되었건 나는 아주 편안하게 잘 작동하고 안정적이다. 아.. 가끔 라즈베리파이의 wifi가 끊기는 일이 벌어지지만 crontab 에 적당한 코드를 집어넣어 와이파이가 끊어질 경우 재 연결 해라~ 등의 스크립트로 해결 가능하다.

PHP $_SERVER 함수 목록

$_SERVER['PHP_SELF'] = 현재페이지의 주소에서 도메인과 넘겨지는 값 제외 = index.php $_SERVER['REQUEST_URI'] = 현재페이지의 주소에서 도메인 제외 =  index.phpuser=&name= $_SERVER['DOCUMENT_ROOT'] = 현재 사이트가 위치한 서버상의 위치 = webappinclude $_SERVER['HTTP_ACCEPT_ENCODING'] = 인코딩 방식 = gzip, deflate $_SERVER['HTTP_ACCEPT_LANGUAGE'] = 언어 = ko $_SERVER['HTTP_USER_AGENT'] = 사이트 접속한 사용자 환경 = Mozilla4.0(compatible; MSIE 6.0; Windows NT 5.1; Q312461; .NET CLR 1.0.3705 $_SERVER['REMOTE_ADDR'] = 사이트 접속한 사용자 IP = xxx.xxx.xxx.xxx $_SERVER['SCRIPT_FILENAME'] = 실행되고 있는 위치와 파일명 $_SERVER['SERVER_NAME'] = 사이트 도메인 $_SERVER['SERVER_PORT'] = 사이트가 사용하는 포트 = 80 $_SERVER['SERVER_SOFTWARE'] = 서버의 소프트웨어 환경 = Apache1.3.23 (Unix) PHP4.1.2 mod_fastcgi2.2.10 mod_throttle3.1.2 mod_ssl2.8.6 OpenSSL0.9.6c $_SERVER['GATEWAY_INTERFACE'] = cGI 정보 = CGI1.1 $_SERVER['SERVER_PROTOCOL'] = 사용된 서버 프로토콜 = HTTP1.1 $_SERVER['APPL_PHYSICAL_